pu, pvc 차이점

Posted by kkamBu 기타 : 2013. 11. 8. 14:15
PU는 폴리우레탄,PVC는 폴리염화비닐입니다. PU는 대부분 인조피혁입니다--레쟈라고 보통 말하지요.무늬가 있는 RELEASE PAPER에 나이프로 경화제를 섞은 우레탄을 코팅하고 원단과 합포한뒤 숙성을 거쳐 RELEASE PAPER를 제거합니다.
이것이 건식 PU의 생산과정입니다.
PVC는 경화제가 아닌 거꾸로 가소제를 첨가하여야합니다. 생산방법은 RELEASE
PAPER를 사용할 수도 있고 원단을 직접 나이프로 코팅한 후,엠보를 할 수도 있습니다.
습식 생산방법은 말그대로 표면경화시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표면이 건식과 습식이 차이가 있습니다. 습식이 더 딱딱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에는 대군통상,부산에는 경은 산업등이 있고,양주쪽엔 은성,기마등 많은 PU 업홀스터리 생산공장이 있습니다. 이 공장들이 SEMI PU 나 PVC를 모두 가지고 있는지는 잘모르겠습니다.
PU와 PVC의 차이는 PU가 조금 더 환경적이고 탄성이 있으며 강도가 우수합니다.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경도가 있으며 PU보다는 높은 온도에 강합니다.
      
 PU건식과 습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두가지 모두 인조피혁을 만드는 것인데,    
건식이 표면 외관만 가죽과 같이 만든다면, 습식은 원단 전체의 텃치를 가죽과 같이 만드는 것 입니다. 습식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적으면... 일명 함침 이라고도 하는데 폴리우레탄 액에 원단 전체를 담그고 맹글로 일정두께 설정후 통과 시켜서 물과 D.M.F가 일정비율로 섞여있는 응고조를 거처서 고체화 시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원단의 두께와 조직 사이에 우레탄이 자리를 잡게되고 D.M.F가 빠저나간 자리에는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만들어진 습식원단은 텃치가 가죽과 같이 촉촉하고 부드럽습니다. 대표적인 아이템은 일본 도레이 알칸트라와 코오롱 샤므드가 유명하죠.


  • 알칸트라와 샤므드는 스웨이드 형태의 제품들입니다. 
    습식원단 표면에 건식을 하게되면 외관과 텃치 모두가 천연가죽 같은 원단이 만들어집니다. 최고의 인조피혁 공정입니다. 

    최근 벤츠 BMW차량 헤드라인에 적용된 원단이 알칸트라이고, 에쿠스 고급기종에 사용된 헤드라인이 코오롱의 샤므드 인조피혁 입니다. 

    이러한 습식함침을 부직포가 아닌 일반 우븐, 트리코트, 다이마루에 적용하여 의류, 소파, 가방, 악세사리용으로 개발 하고있으며, 가까이는 겔S4 정품케이스 안감이 습식함침한 트리코트 제품입니다. 

  • (dimethylfumarate 디메틸푸마레이트) 이 약품은 습식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쉽게 설명드리자면 밀가루에 물과같은 역할을 합니다. 찐빵용 반죽에 들어가는 물의양과 붕어빵용 반죽에 들어가는 물의양이 용도에 맞게 다르듯, 우레탄의 농도를 맞추는데 사용 합니다. 이약품은 유성으로 우레탄과 섞여있다가 물과 만나면 분리가 됩니다. 이 약품이 빠져나간 자리에 공극이 생기게 됩니다. 함침을 용도에 맞게하기 위해서 비율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우레탄100 : 100 D.M.F (2)우레탄100 : 200D.M.F의 차이는 (2)번이 공극이 많고 소프트하게 되죠. 물론 (1)번이 물성적으론 강하죠. 
    이 약품은 유럽지역에서는 규제물질 이여서 허용치를 넘으면 안되고 바이어에 따라서 
    허용치를 확인 하셔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없에기 위해서 수용성으로 개발하고는 있지만, 제품의 차이가 커서 상용화 단계는 아닙니다. 
    소고기와 콩고기정도의 차이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 "DMF(dimethylfumarate:디메틸 푸마레이트)"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 가 ?를 참고로 부연 설명드리겠습니다. 
    이것은 유럽연합에서 소파,신발 등에서 규제하는 물질로서 가죽에 사용하는 항 미생물제로 곰팡이 억제의 용도로 사용이되며,이 물질에 노출시 피부 가려움증 및 자극,홍반(붉은 점) 그리고 급성 호흡곤란증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전 유럽지역에서는 이 물질이 들어있는 제품은 판매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 D.M.F를 사용하지 않고 습식함침을 할방법은 현재로는 없습니다. 
    실제로 유럽 대형 가구 회사에 납품 실적이 저의 회사도 있고, 지금도 하고있는 회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도레이 알칸트라, 코오롱 샤므드가 사용 원단이 다를뿐 습식함침 작업방법은 같습니다. 

    천연가죽에서 곰팡이 억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인지? 
    아니면 인공피혁에서 D.M.F 잔존 허용치와 관계없이 이 방법으로 제조한 제품을 규제하는 것인지 정확히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저의회사 제품에서는 20~30ppm정도로 검출 되었습니다. 

Restricted Substances List(RSL) for Consumer Goods 
Dimethylfumarate :Limit,legal EU : 0.1mg/kg 
---------------------------------------------------------------
Test Method Pretest Headspace GC/MS-analysis Quantitation by ultrasonic extraction with orgnic solvent and subsequent GC/MS-analysis 
--------------------------------------------------------------- 
EU Requirement European Commission Ruling 2011/135/EC,valid for products and components of products 
CAS No.624-49-7
 
----------------------------------------------------------------------
Product Groups 
i)Garments,Shoes,Bags,Accessories,Jewellery,Hometextiles with skin contact 
ii)Hardware,Decoration Articles,Hometextiles without skin contact 
iii)Toys 
iv)Articles with food contact 
v)Preparations only,no limit for consumer goods 


  • PVC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카렌다와 캐스팅, 카렌다는 Paste resin 이며 원단에 바로 합포합니다. 
    캐스팅은 Straight resin 이며 release paper 를 사용하여 원단에 합포합니다. 
    두가지의 차이점은 너무 많아 설명하기가 곤란하네요^^